저수조의 이상적 흐름 :
핵심구성 | 2개 이상의 동일한 원통형 몸체가 연접되는 웨이브 외벽체 |
연접 접합부 내측으로 허니컴 구조를 형성하는 내벽패널 | |
물이 유동하도록 내벽패널 일부에 구비되는 유출구 | |
물이 수평 출수하여 압출흐름을 형성하는 회전수류 입수관 |
구조적 안전성 | 위생성 |
---|---|
- 원형을 연접하여 정수압에 강함 - 내부 허니컴 내벽패널로 구조적 보강 - 연접구조로 인한 토지이용성 향상 |
- 회전수류 입수관으로 압출흐름 형성 - 외벽+내벽패널의 S자 유동흐름 형성 - 정체구역이 없고 체류시간이 짧음 |
웨이브 | 사각 | |
---|---|---|
0.7m |
![]() |
![]() |
2.1m |
![]() |
![]() |
3.5m |
![]() |
![]() |
측면 |
![]() |
![]() |
- 회전수류입수관으로 수평 출수 발생 - 연접구조를 따라 회전하며 S자 흐름 생성 - 물탱크 전체적으로 정체구역이 없는 구조 |
- 사각의 직각구조로 인한 물 정체구역 발생 - 체류시간증가로 인한 CT값 감소 - 수질오염 발생 우려 |
웨이브 | 사각 | |
---|---|---|
구역별 정체 구역 |
![]() |
![]() |
코너 부위 |
![]() |
![]() |
도류 벽면 |
![]() |
![]() |
측면 |
![]() |
![]() |
- 각 수조별로 회전 유동흐름 형성 - 코너 부위에도 물흐름 저항이 없음 - 측면에서 보면 저층과 고층이 함께 압출흐름으로 물 흐름 형성 |
- 도류벽면, 코너 부위 등 정체구역 발생 - 정체구역안에서 물이 체류하며 회전 - 측면에서 보면 상부는 체류, 하부로 물길이 형성 |
웨이브 | 사각 | |||
---|---|---|---|---|
최대변위결과 | 최대응력결과 | 최대변위결과 | 최대응력결과 | |
외벽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지붕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바닥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격벽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보강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- 사각의 경우 내응력이 약해 보강을 위한 다수의 수평수직보강대 설치 - 사각의 불필요한 보강으로 인해 지붕, 바닥, 격벽은 비정상적으로 안전율이 높음 - 동일한 내부 도류격벽이라도 지진하중 시 사각은 안전율이 낮아지는 반면, 웨이브의 경우 서로 연결된 허니컴 구조 내벽패널로 지진에도 안전율이 높음 |